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<경제를 부탁해> 시작하겠습니다.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 나와 있습니다.<br><br>Q1. 탄핵정국에 우리 경제도 흔들리고 있습니다. 국내 증시는 한주간 요동을 쳤어요? <br><br>네, 그렇습니다.<br><br>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무산으로 공포 매도가 이어졌는데요.<br><br>코스닥은 코로나19 이후 최저치로 주저앉았고, 코스피는 2.7% 급락하는 '블랙먼데이'를 겪어야 했습니다. <br><br>시가총액으로 보면 계엄 발표 이후 나흘 동안 140조 원 정도 증발했습니다. <br><br>현대차 3개를 날린 셈인데요.<br> <br>어제 코스피와 코스닥이 반등에 성공했지만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만큼 진정됐다고 판단하긴 일러 보입니다.<br><br>2. 환율도 급등했죠?<br><br>네, 그렇습니다. <br><br>종가 기준으로 거래일마다 고점을 새로 썼는데요.<br><br>1430원마저 돌파하며 2년 2개월 만에 최고치로 올랐습니다.<br><br>현재와 같은 고환율은 1997년 외환위기, 2008년 금융위기 등 과거 3차례 뿐인데요.<br><br>환율 1500원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><br>Q3. 향후 경제 성장에까지 파장이 미칠 거란 우려가 나온다고요?<br><br>비상계엄 사태 선포 전 한국은행이 내년도 성장률 전망치를 1%대로 낮췄었죠. <br><br>글로벌 투자은행(IB)들도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1%대 중·후반으로 예상했습니다.<br><br>하지만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추가로 하향 조정될 수 있다는 경고가 쏟아지고 있습니다. <br><br>한국 경제를 바라보는 차가운 해외 시선도 악재입니다.<br><br>은행에서 개인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대출을 해주지 않고 신용불량자 취급을 하죠.<br><br>마찬가지로 국가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국채 금리가 오르고 외국인 투자가 줄어드는데요.<br><br>지금 무디스와 피치는, 우리나라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면 국가 신용등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. <br><br>Q4. 앞서 노무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와 비교하면 어떻습니까?<br><br>과거의 정치적 혼란은 성장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.<br><br>하지만 이번에는 다르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><br>미 경제전문 포브스지는 이번 계엄의 대가 비용은 5100만 국민이 오랫동안 장기간 할부로 갚게 될 것라고 진단했는데요.<br><br>과거 탄핵 때를 보면, 2006년 중국 경기 호황과 2016년 반도체 사이클의 강한 상승세에 힘입어 성장을 했습니다.<br><br>하지만 지금 우리 경제는 경기 침체 국면을 지나고 있거든요.<br><br>여기에 중국 경기 둔화와 미국 무역 정책 불확실성으로 국내 경기를 견인해 온 수출마저 비상이 걸렸단 점에서 전망은 어둡습니다.<br><br>Q5. 탄핵정국으로 기업 리스크도 현실화되고 있다면서요?<br><br>합병을 앞두고 있던 두산그룹은 사업구조 개편이 무산됐습니다.<br><br>'비상계엄 사태’의 여파로 최근 일주일새 주가가 급락했기 때문인데요. <br><br>합병이 무산되면서 두산 그룹은 단기적인 성장 전략과 투자·수주에도 타격이 불가피해졌습니다.<br><br>완성차 업계도 추가 생산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인데요. <br><br>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는 윤 대통령이 퇴진하지 않자, 어제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갔습니다.<br><br>기아 노조도 상급단체 결정에 따라 하루 4시간 파업에 돌입했는데요.<br><br>정확한 피해 규모는 특정하기 어렵지만, 앞서 현대차는 하루 4시간 부분파업으로 2000대 안팎의 생산 차질이 발생했습니다.<br><br>Q6. 기업들에게 가장 큰 리스크는 '불확실성'인데요. 대응 전략은 있는 건가요?<br><br>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은 세부적인 내년 경영계획 수립을 미루고 있습니다. <br><br>통상 12월엔 내년도 사업·투자 계획과 자금 조달 방안 등을 결정하는 회의가 연달아 열리는데요.<br><br>사업 목표를 부문별로 뚜렷하게 설정하고 세부 영업 전략을 세운 뒤 1월이 되면 바로 실행하기 위해섭니다.<br><br>하지만 올해는 트럼프 당선에 탄핵 정국이라는 불안 요소가 추가돼 기업이 옴짝달싹 못 하고 있습니다.<br><br>일단은 기존 계획을 소화하면서 혹시 모를 변수를 예의주시하는 상황입니다.<br><br>지금까지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신선미 기자 new@ichannela.com